피파온라인 4/피파온라인 4 일기

[피파 온라인4] 2021-01-17 피파 온라인4 복귀! 부계정 강화 장사+이벤트로 100억 모으기 프로젝트 2일차!

김그라 2021. 1. 17. 23:18
반응형

어제 강화장사와 복귀 이벤트 등으로 5억5천만BP에서  816,209,262 BP까지 획득했습니다. 오늘은 10억BP까지만 목표로 잡아봅시다!

 

 

주말 이벤트로 얻은 선수팩입니다. 제발 3000만BP 이상만 나와주길.. 바랍니다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3000만BP 이상이긴 하지만 좀 아쉽네요 ㅋㅋ

 

 

 

 

그 외에 프리 버닝 BP와 주말 특별 BP까지 받아주면 순BP로만 벌써 3000만BP를 벌게 됩니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와.. 진짜 안붙네요 거의 1억BP이상은 쓴 듯..

 

 

 

 

생각보다 쉽게 붙은 멘디 선수입니다. 4카에서 5카를 스트레이트로 성공한다면 거의 대부분 이득입니다.

(4에서 5까지 강화비용이 꽤 큼)

 

 

 

 

 

 

우여곡절끝에 4카를 붙혔지만 은카는 비교적 쉽게 스트레이트로 올라갔습니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그 외에 프리버닝 보상에서 나온 무어 3카와 BP들

 

 

 

은카였다면 ㅠ

 

 

 

 

너무 아쉽네요.. 은카라도 주지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마지막으로 비에이라 은카 한 번 더 성공!

 

 

 

 

 

 

강화장사에 있어서 또 하나의 꿀팁을 알려드리겠습니다.

 

이렇게 상한가에 올려져있는 재료들은 사지 마세요. 상한가에 선수들이 팔리다 보면 재료들의 가격이 훨씬 더 올라갑니다. 가격이 올라가는 것 뿐 이외에도 2~30만BP가량을 아낄 수 있습니다. 강화 100번이면 거의 2~3000만BP를 아끼는 셈이 됩니다.

 

또한 상한가 매물들을 사지 않게된다면 급전이 필요한 유저들은 하한가나 중간가에 매물을 올리게 됩니다. 자동적으로 가격들이 내려가고 싼 가격에 매물들을 살 수 있습니다. 

 

 

정말 귀찮으시더라도 꼭 이렇게 상한가가 아닌 중간 혹은 하한가 매물을 구입하시는게 훨씬 좋습니다.

 

 

 

 

가장 좋은 방법은 위처럼 별로 인기 없는 매물들의 하한가에 구매 요청을 5~6개정도 박아놓는게 가장 좋습니다. 시간이 굉장히 많이 걸리겠지만 상한가에 사는 것 보다 훨씬 더 좋은 방법입니다.

 

 

 

 

또한 같은 OVR이지만 가격이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. 맨 위에있는 재료들은 거의 평균 480만BP가량의 고가의 재료인데 스크롤을 밑으로 내리면

 

 

재료들의 평균 가격들이 훨씬 낮아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. (약 50만BP가량 더 낮아짐)

 

 

 

매물들을 더욱 싸게 구하고 싶다면 강화 단계를 2~3강으로 맞춰주시고 검색하면 더욱 좋습니다. 요즘 강화 선수팩을 말 그대로 뿌리기 때문에 2~3강화의 고 OVR선수들이 1강화의 고 OVR 선수보다 훨씬 저렴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.

(4강 이상부터는 1강과 비슷하거나 더욱 비싸짐)

 

 

이 두 선수들을 비교했을때 같은 OVR이지만 가격이 훨씬 저렴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마지막으로 알려드릴 팁은 귀찮다고 1000만BP나 하는 97짜리 하나 사서 강화하지 마시고 

 

 

 

300만BP에 구매한 93짜리 3개를 넣으면 약 100~200만BP를 아낄 수 있습니다.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4카에서 한 번 미끄러지고 성공했네요 ㅎㅎ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오늘 강화가 잘 되네요 ㅎㅎ 사놓은 재료들만 쓰고 끝내려고 했는데 계속 붙습니다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대략 안 팔린 선수까지 다 팔린 후 탑클래스 + PC방 수수료 할인으로 받는다면 1,246,000,000 BP 정도가 생길 것 같습니다. 벌써 12.4%를 달성해버렸네요.. 이대로 가면 거의 한 달 이내로 100억BP를 돌파 가능 할 것 같습니다.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