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오늘은 명령 프롬프트를 이용하여 컴퓨터를 원하는 시간에 자동으로 끄는 법을 알아봅시다.
1~2시간 가량 컴퓨터를 켜두고 나가야 할 상황이 자주 발생합니다. 동영상을 업로드 하거나 게임 이벤트를 참여하기 위해 잠시동안 컴퓨터를 켜둬야하는 상황에서 잠을 자거나 어딘가를 나갔다와야 할 상황이 발생합니다.
저같은 경우에는 12시마다 피파 온라인 4 게임의 이벤트를 참여하기 위해 컴퓨터를 2시간가량 켜두고 자곤 하는데요 장시간 컴퓨터를 켜두기에는 너무 부담스럽고 또한 컴퓨터에서 나는 소리와 불빛 역시 거슬립니다. 어느날 딱 2시간 뒤에 자동으로 컴퓨터가 꺼졌으면 좋겠다고 생각을 했는데 알고보니 제가 초~중학교 시절에 자주 사용했던 방법이 떠올랐습니다.

방법은 매우 간단합니다. 바로 CMD (명령 프롬프트)만 있으면 간단하게 원하는 시간에 컴퓨터를 종료시킬 수 있습니다. 윈도우 키를 누른 후 검색창에 cmd 혹은 명령 프롬프트를 검색해서 실행시켜줍시다.

그 후 입력창에 shutdown -s -t 원하는 시간을 입력해주시면 됩니다. 숫자 1당 1초로 계산되니 1시간 뒤에 종료하기를 원하면
shutdown -s -t 3600
위와 같이 입력해주시면 됩니다.
30분 뒤에 종료 = shutdown -s -t 1800
1시간 뒤에 종료 = shutdown -s -t 3600
1시간 30분 뒤에 종료 = shutdown -s -t 5400
2시간 뒤에 종료 = shutdown -s -t 7200
2시간 30분 뒤에 종료 = shutdown -s -t 9000
3시간 뒤에 종료 = shutdown -s -t 10800
3시간 30분 뒤에 종료 = shutdown -s -t 12600
4시간 뒤에 종료 = shutdown -s -t 14400

정상적으로 입력되었다면 위와 같이 열쇠 아이콘과 함께 로그오프하려고 합니다. 라는 메시지가 나오게 됩니다. 또한 종료 10분 전에 10분 뒤 자동으로 컴퓨터가 꺼진다고 알려주기까지 합니다.
하지만 마음이 바뀌어서 자동 종료를 취소하고 싶다면

shutdown -a 를 입력하여 종료 예약을 취소하면 됩니다.

저의 경우에는 매일같이 2시간 뒤 종료하는 shutdown -s -t 7200을 사용하는데 매일같이 입력하기가 너무 귀찮습니다. 저처럼 셧다운 명령어, 자동 종료를 자주 사용하고 싶을 때에는 메모장을 실행시켜줍시다.

그 후 명령어를 메모장에 적은 후 저장해줍시다. 저의 경우에는 2시간 뒤 종료하기를 원하니 7200을 적어주었습니다.

메모장 이름은 아무 이름으로 하셔도 상관없습니다.

마우스 우클릭 후 이름 바꾸기(M)을 선택해서

파일의 확장명 (.txt)만 .bat으로 바꿔줍시다!

만약 이와 같이 파일의 확장명 부분 (.txt)이 안 보이는 경우에는 당황하지 마시고

위 처럼 파일 확장명 표시를 검색한 뒤 열기!

빨간색 동그라미 친 부분을 클릭합니다!

이 부분의 체크를 해제한 뒤 적용 혹은 확인을 클릭해줍시다!

그 후 확인하시면 위와같이 확장명이 표시가 됩니다!

이처럼 컴퓨터가 우리를 협박하는데 전혀 무서워할 필요가 없습니다! 예를 클릭해주세요

이제 이 파일을 실행하게 되면 자동으로 2시간뒤 종료 예약이 됩니다!

그 후 같은 방법으로 예약을 해제하는 파일까지 생성해줍시다!

이 파일을 실행시키면 미리 해두었던 종료 예약들이 모두 취소됩니다.
'PC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키보드] ABS와 PBT 키캡, 어떤 차이가 있을까? (1) | 2021.02.01 |
---|---|
[키보드] 청축? 갈축? 적축? 기계식 키보드 축 별 특징 정리! (2) | 2021.01.29 |
PC 메인 보드편 아무리 비싸도 '호환' 안되면 쓸모없다! (0) | 2020.06.26 |
컴퓨터 CPU를 알아봅시다. 쿼드 코어? 8 쓰레드? 오버클럭? (0) | 2020.06.25 |